경제 이야기 83

[경제] 고통을 피하려 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

고통을 피하려 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 고통이라는 것은 아프고 힘들기 때문에 가까이 하고 싶지가 않다. 하지만 고통의 경험으로 인해 이후부터 같은 상황이 오면 스스로 방어를 하려 한다. 어린아이는 한 번도 다쳐본 경험이 없어 길을 막 뛰어다니다 넘어지면 무릎에 상처가 나고 아파하며 울곤 한다. 그 아픔의 기억은 이후에 길을 뛰어다니다가는 넘어질 수 있다는 경험치로 인해 길을 조심히 걷게 만든다. 고통은 아프지만 무조건 나쁜 것이 아니다. 고통의 기억과 경험은 스스로 생각하게 한다. 그로 인해 방어를 할 수 있게 하고, 발전하게 만든다. 고통은 이것들을 위한 시그널이다. 그러므로 고통이 온다고 해서 외면하면 안 된다. 등산과 운동을 하면 건강해진다고 누구나 알지만 힘들다고 외면하면 처진 뱃살과 빈약한 체력을..

경제 이야기 2022.01.12

[경제] 조기 은퇴, 당신도 가능하다.

조기 은퇴, 당신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한 달에 생활비로 300만 원을 쓰는 가정이라면 1년을 살아가는데 3,600만 원, 10년은 3.6억 원, 50년을 살아가려면 18억 원이 필요할 것이다. 만약 월급 300만 원을 받는 사람이면 50년간, 월급 500만 원을 받는 사람이면 30년간 벌어야 하는 매우 큰 금액이다. 그것도 물가상승을 포함하지 않고 단순 계산했을 때이다. 만약 월급이 끊기면 매달 들어가는 생활비를 위해 모아 놓은 돈을 까먹어야 하기 때문에 직장생활을 멈출 수가 없다.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다달이 들어가는 몇 백만 원의 생활비를 노동이 가능한 젊은 나이에 최대한 벌어두기 위해서 아픈 몸, 하기 싫은 일, 듣기 싫은 소리를 참아가며 열심히 직장을 다녀야 한다. 로또 말고는 탈출구가 없어 ..

경제 이야기 2021.12.19

[경제] 명품 자랑하는 사람들의 착각

명품 자랑하는 사람들의 착각 인스타그램, 카카오톡 등의 SNS에 명품 브랜드의 가방, 시계, 화장품, 고급 자동차 사진들을 올리며 은근히 자랑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게시물의 내용과는 크게 상관없는데도 꼭 명품 브랜드 로고가 드러나게 사진을 찍는다. 게시물을 올리는 본인은 티 안 나게 은근히 자랑을 한다고 생각하지만, 보는 사람에게는 그냥 대놓고 자랑하는 것처럼 보인다. 자신이 능력 있고 여유로운 멋진 삶을 산다고 다른 사람들로부터 부러운 시선을 받을 것이라고 생각하겠지만, 생각과는 다르게 그렇지 않다. 특히 주변 지인들은 그 사람의 경제적 능력을 대략 어느 정도 알기 때문에 SNS에 올리는 명품 사진들이 정말 형편이 그럴만해서 구입을 하는 것인지, 아니면 능력에 비해 무리를 해서 구입을 하는 것인지 구..

경제 이야기 2021.12.05

[경제] 실거주 자가 주택은 자산이 아닌 부채이다.

실거주 자가 주택은 자산이 아닌 부채이다.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의 라는 책에서 집은 자신에게 돈을 더해주는 자산이 아닌, 돈을 빼앗아 가는 부채라고 한다. 그는 대출을 일으켜 부동산을 사고, 거기서 나오는 월세 수익과 또 다른 대출을 더해 계속 수익형 부동산을 사들여 자산을 증식하고 있는 것이었다. 하지만 실제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자가 주택은 자산이 아닌 비용을 일으키고 있는 부채라고 한다. 최근까지 아파트 가격이 계속 오르고 있어 지금 집을 못 사면 앞으로 영원히 내 집 마련을 할 수 있는 기회는 없을 것 같은 공포심에 부모님의 도움과 대출, 자신에게 있는 돈 모두 영혼까지 끌어 모아 집을 마련한 사람도 있는 판에 '무슨 헛소리인가?' 라는 생각이 들 수 있다. 사업의 매출이 커져가고 주식의 가격이 ..

경제 이야기 2021.12.02

[경제] 내 돈이 쓰레기가 되어 가는 원리

내 돈이 쓰레기가 되어 가는 원리 시중에 돈이 늘어나는 것을 통화량이 증가했다고 표현한다. 통화량이 증가하면 돈이 흔해지므로 돈의 가치가 떨어진다. 그러니 통화량이 증가하기 전과 같은 물건을 구입하고 서비스를 받으려면 더 많은 돈을 내야 한다. 하지만 자본주의 원리를 모르면 '1만 원은 그냥 1만 원이지. 무슨 돈의 가치가 떨어지냐?'라고 생각하게 되고, 돈을 기준으로 가치를 생각하는 게 아닌 계속적으로 단순히 물가가 오른다고만 생각하게 된다. 요즘 물가가 많이 올라 뭐 하나 사기가 겁이 난다. 물가가 오른 이유는 시중에 돈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그럼, 돈은 어떻게 늘어날까? 그것은 바로 대출 때문이다. 나도 예전에 단순히 조폐공사에서 돈을 찍어내면 늘어난다고 생각했었다. 그것도 맞는 말이지만 일부일 뿐..

경제 이야기 2021.11.30